🍭
webserv
  • Webserv tutorials
  • 학습 | 웹(Web)
  • 학습 | 웹서버(Webserver)
  • 학습 | HTTP 개요
  • 학습 | 리퀘스트(Request)
  • 학습 | 리스펀스(Response)
  • 학습 | CGI
  • 학습 | RFC
  • 학습 | 소켓과 TCP 커넥션
  • 학습 | 서브젝트(Mandatory)
  • 실습 | 서버 프로그램
  • 실습 |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 실습 | 통신 테스트
  • 실습 | telnet
  • 실습 | nginx
  • 설계 | 설계의 중요성
  • 설계 | 플로우차트
  • 설계 | 설정 파일
  • 설계 | 객체 설계
  • 설계 | 팀 코드 컨벤션
  • 설계 | 클래스 명세서
  • 설계 | 협업환경 구성
  • 구현 | 메인함수
  • 구현 | 서버생성
  • 구현 | Select
  • 구현 | 서버제어
  • 구현 | 요청 읽기
  • 구현 | 메소드 실행하기
  • 구현 | 응답 생성하기
  • 구현 | CGI 실행하기
  • 구현 | 응답 보내기
  • 구현 | 주요 메소드
  • 구현 | Libft
  • 구현 | 구현 테크닉 16
  • 구현 | 로그
  • 테스트 | Postman
  • 테스트 | Tester
  • 테스트 | 브라우저
  • 테스트 | Siege
  • 보너스 파트
  • 학습 레퍼런스
  • 튜토리얼을 끝내며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Was this helpful?

학습 | RFC

Previous학습 | CGINext학습 | 소켓과 TCP 커넥션

Last updated 4 years ago

Was this helpful?

RFC(Request for Comments) 문서는 비평을 기다리는 문서라는 의미로, 공학 등에서 기술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연구, 혁신, 기법 등을 아우르는 메모를 나타낸다.

(Internet Society)에서 기술자 및 컴퓨터 과학자들은 RFC 메모의 형태로 생각을 출판하게 되며, 이러한 출판의 목적은 자신의 새로운 생각 및 정보에 대해 전문가 비평을 바라는 것, 혹은 그러한 생각을 단순히 전달하는 것이다. 때로는 공학적인 유머를 위해서이기도 하다(를 참조하기 바란다). (IETF)는 일부 RFC를 으로 받아들이기도 한다.

RFC를 읽어봅시다! 위키에서는 RFC를 위와 같이 정의합니다. 웹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으시다면 바로 RFC를 읽으셨겠지만, 저는 배경지식이 별로 없어서 위와 같은 코스로 돌아올 수 밖에 없었죠.

RFC 7230부터 7235까지가 바로 우리가 구현해야 할 HTTP/1.1의 사양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들입니다. 번역본에 감사를 표하며 차근차근 읽어봅시다. 문서의 양이 많아서 저희 팀은 각자 분배해서 읽고 공유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는데, 각자 공부해왔더라도 이 단계에서는 RFC를 같이 읽고, 요약하고, 공유하면서 서로가 이해한 HTTP/1.1과 웹서버의 역할에 대해 언어적으로 협의하는 일이 매우 중요합니다.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
인터넷 협회
만우절 RFC
인터넷국제표준화기구
인터넷 표준
RFC 7230 - HTTP/1.1 : Message Syntax and Routing 번역이병록의 개발 블로그
Logo